기업의 가치를 분석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수치인 주당순자산비율(PBR)이 무엇인지 간단하게 알아보고 주식에 투자하는 데 있어 얼마나 유효성이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1. PBR의 의미
주당순자산비율이라고 하는데 이는 '주가/주당순자산'으로 계산해 볼 수 있다. 현재 주가가 회사가 가진 자산의 가치에 어느 정도에 있는지 확인하는 지표가 되며 1배를 기준으로 높고 낮음을 평가하게 된다. PBR이 1 미만일 때 저평가되었다고 하며 PBR이 1을 초과할 때부터 고평가가 아닌지 고려해보게 된다.
2. PBR의 유효성 확인
PBR이 낮으면 좋다는 것을 간단하게 알아보았으니 이제 주식시장에서 이 수치가 어느 정도 유효한지 백테스트를 통해 확인해보도록 하자.
1) PBR 백테스트 결과
- 백테스트 기간 : 2002년 4월 15일 ~ 2022년 9월 19일
- 리밸런싱 기간 : 분기별(3월 15일/6월 15일/9월 15일/12월 15일)
- 제외기업 : 관리종목, 적자기업, 중국기업, 금융주, 지주사
전체 주식 중 PBR이 10 분위에 가까울수록 수익률이 계속 낮아지는 것으로 보아 PBR팩터 또한 PER팩터와 같이 알고 있는 것처럼 낮을수록 좋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렇다면 PER때처럼 소형주와 대형주에 적용해보았을 때 차이점도 같을까?
(1) 소형주와 PBR
전체 주식과 같은 모양은 아니지만 시가총액 하위 20%만 대상으로 해도 전체적인 수익률이 상승했음을 볼 수 있다. 가장 수익률이 낮은 10 분위와 전체 주식 1 분위를 비교했을 때도 소형주가 수익률이 더 앞서는 것이 확인된다. PBR 팩터에서도 소형주와 접목하지 않을 이유가 전혀 없어 보인다. 그래프를 전체적으로 봤을 때 수익률이 8 분위까지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소형주와 저PBR의 조합이 꽤나 괜찮아 보인다.
(2) 대형주와 PBR
대형주는 이번에도 형편없는 결과가 나왔음을 확인했다. 소형주 1 분위와 대형주 1 분위는 24.97% p가 차이나고 전체 주식 1 분위와 대형주 1 분위는 13.33% p가 차이가 났다. 앞서 PER에서도 확인했지만 PBR에서도 굳이 대형주를 대상으로 할 이유를 전혀 찾지 못했다.
결론
전체 주식에서 PBR이 낮을수록 수익률이 높다는 것은 아직까지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소형주에서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였고 그래프를 살펴봤을 때 전체적으로 PBR이 낮다고 수익률이 반드시 더 높지는 않았다는 점이 인상 깊다. PER과 같이 계량 투자 시 소형주를 함께 필터 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형주는 전체적으로 수익률이 높지 않음을 계속해서 확인할 수 있었고 굳이 대형주를 주식 투자 대상으로 해야 할지 하는 생각은 앞으로 계속 고민해봐야 할 것 같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R 투자에 유효한 지표인가? (0) | 2022.10.11 |
---|---|
PCR 투자에 유효한 지표인가? (0) | 2022.10.11 |
PSR 투자에 유효한 지표인가? (0) | 2022.10.10 |
소형주 효과는 정말 유효한가? (0) | 2022.10.10 |
PER 투자에 유효한 지표인가? (2) | 2022.10.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