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EV/EBIT 투자에 유효한 지표인가?

Mind_Fit 2022. 10. 14.
반응형

앞서 EV/EBITDA 팩터에 대해 살펴보았으니 이번에는 EV/EBIT 팩터에 대해 살펴보고 비슷한 두 팩터 간 어떤 차이가 얼마나 있는지 백테스트를 통해 확인해보고자 한다.

 

1. 백테스트

 - 백테스트 기간 : 2002년 4월 15일 ~ 2022년 9월 19일

 - 리밸런싱 기간 : 분기별(3월 15일/6월 15일/9월 15일/12월 15일)

 - 제외기업 : 관리종목, 적자기업, 중국기업, 금융주, 지주사

 1) 전체 주식

EV/EBIT 팩터 또한 낮을수록 초과수익률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고 한다. EV/EBIT 팩터 또한 앞서 살펴본 EV/EBITDA 팩터와 같이 2 분위부터 선형구조를 보이며 우하향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수익률 또한 큰 차이가 보이지는 않는다. 소형주와 대형주에서도 큰 차이가 보이지 않는지 살펴보자.

 2) 소형주

소형주 수익률 그래프 또한 앞선 EV/EBITDA 팩터와 매우 유사한 모습과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다. 해당 팩터 또한 전체적으로 수익률이 아주 낮지는 않아 보이는 것이 인상 깊다.

 3) 대형주

대형주 대상 10 분위 백테스트 결과이다. 역시나 가장 낮은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으며 앞선 결과들과 같이 EV/EBITDA 팩터와 유사한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2. 퀀트 투자를 했다면?

 - 백테스트 기간 : 2002년 4월 15일 ~ 2022년 9월 19일

 - 리밸런싱 기간 : 분기별(3월 15일/6월 15일/9월 15일/12월 15일)

 - 제외기업 : 관리종목, 적자기업, 중국기업, 금융주, 지주사.

 - 백테스트 대상 : EV/EBITDA 값이 가장 낮은 50개 종목을 동일 비중으로 매수 및 매도

 - 거래수수료 : 0.5% 적용

 1) 수익률 비교

소형주에서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으며 역시 대형주에서 가장 낮은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다. 소형주와 대형주의 수익률 차이는 28.53% p이다.

연평균 수익률 및 투자 결과 값 비교
구분 투자원금 연평균 수익률(CAGR) 기간 결과
전체 1,000,000원 14.52% 02.04.15. ~ 22.09.19. 17,238,843원
소형주 1,000,000원 38.24% 898,065,944원
대형주 1,000,000원 9.71% 7,001,168원

21년 간 각 대상별로 투자를 했을 때의 연평균 수익률과 그 결과이다. 수익률이 가장 높은 소형주와 가장 낮은 대형주의 수익률 차이는 약 8억 9천만 원이다.

 2) 최대 손실 낙폭(MDD) 비교

소형주의 MDD가 역시 가장 낮았고 대형주의 MDD가 가장 높았으나 전체 대상과 최대 손실 낙폭 차이가 그리 크지 않다는 점이 눈에 띈다. MDD가 가장 높은 값과 낮은 값의 수치 차이는 4.82% p로 확인된다. 

 

전반적으로 각 개별 팩터의 MDD의 수준이 50%~60% 수준임을 감안하면 그리 심각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저 MDD를 경험하면 기다릴 수 있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3) 기타 참고 수치

  전체 주식 시총 하위 20% 시총 상위 20%
Best Year 156.46% 269.75% 62.19%
Worst Year -37.68% -32.83% -37.98%
Avg. Up month 6.08% 7.50% 5.07%
Avg. Down month -5.39% -5.28% -4.84%
Win Month 58.94% 68.70% 59.35%
Win Year 76.19% 80.95% 71.43%

3. 결론

EV/EBITDA 팩터와 다른 팩터이나 결과 값은 차이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한 수준이었다. 역시나 생각보다 성과가 괜찮았고 MDD 관리만 잘해준다면 다른 팩터들과 조합하여 괜찮은 성과를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꾸준한 관찰과 분석을 해볼 만한 팩터인 듯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