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NCAV 투자에 유효한 지표인가?

Mind_Fit 2022. 10. 12.
반응형

벤저민 그레이엄의 전략으로 유명한 NCAV(Net Current Asset Value) 전략에 대해 백테스트해보고 우리나라에서 얼마나 유효한 전략인지 그리고 얼마나 높은 수익률을 기대해볼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1. 백테스트

 - 백테스트 기간 : 2002년 4월 15일 ~ 2022년 9월 19일

 - 리밸런싱 기간 : 분기별(3월 15일/6월 15일/9월 15일/12월 15일)

 - 제외기업 : 관리종목, 적자기업, 중국기업, 금융주, 지주사

 1) 전체 주식

 V형 구조를 보이며 수익률이 나타나고 있고 지금까지 테스트했던 다른 팩터들 중 가장 낮은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다른 팩터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이것만 봐서는 이 팩터를 사용할 것인가에 의문이 든다.

 2) 소형주

 소형주 중 NCAV가 높은 기업을 1 분위로 10 분위까지 다음과 같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확실히 소형주에 적용하니 수익률이 보다 높아지긴 하였으나 그래프가 들쭉날쭉하다는 것이 지금까지 보던 팩터들과 가장 큰 차이이다.

 3) 대형주

 대형주에서는 완전히 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NCAV가 높은 기업이 오히려 수익률이 많이 떨어지는 모습이고 10 분위로 갈수록 수익률이 높아지는 모습이다. 이 정도면 테스트를 잘못한 것이 아닌가 하여 필터와 시총을 몇 번이나 확인했으나 잘못된 부분은 찾지 못했다.

2. 퀀트 투자를 했다면?

 - 백테스트 기간 : 2002년 4월 15일 ~ 2022년 9월 19일

 - 리밸런싱 기간 : 분기별(3월 15일/6월 15일/9월 15일/12월 15일)

 - 제외기업 : 관리종목, 적자기업, 중국기업, 금융주, 지주사

 - 백테스트 대상 : 고NCAV 50개 종목을 동일 비중으로 매수 및 매도

 1) 연평균 수익률

 역시 소형주에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대형주는 이번에도 눈에 띄게 낮은 수익률을 기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봤던 팩터들과 크게 비교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최대 손실 낙폭(MDD)

 그래프가 큰 관계로 꽤나 큰 차이 같지만 MDD가 가장 낮은 소형주와 MDD가 가장 높은 대형주와의 차이는 3.32% p 뿐이다. MDD는 큰 차이는 없어 보인다.

3) 기타 참고 수치

  전체 주식 시총 하위 20% 시총 상위 20%
Best Year 172.76% 270.58% 41.89%
Worst Year -35.77% -34.08% -38.37%
Avg. Up month 6.27% 7.20% 4.95%
Avg. Down month -4.91% -4.96% -5.28%
Win Month 62.20% 64.23% 54.88%
Win Year 76.19 80.95% 61.90%

3. 결론

 지금까지 봤던 팩터들과 다르게 강력해 보인다는 느낌은 받지 못했고 앞으로도 나에게 유의미한 팩터가 될지 확신할 수 없다는 느낌을 받았다.

 

 물론 다른 팩터들과 조합하면 수익률은 더 올라갈 수 있겠으나 조합했을 때 NCAV 팩터 보다 더 높은 수익률이 기대되는 가치 팩터들이 많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잘 활용할 것 같지는 않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의견이고 판단과 활용은 본인의 몫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