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자본 이익률(Return On Equity)'이 퀀트 투자를 함에 있어 얼마나 효율 있는 지표인지 백테스트를 해보고 나온 결과 값을 가지고 생각해보고자 한다.
1. 백테스트
- 백테스트 기간 : 2002년 4월 15일 ~ 2022년 9월 19일
- 리밸런싱 기간 : 분기별(3월 15일/6월 15일/9월 15일/12월 15일)
- 제외기업 : 관리종목, 적자기업, 중국기업, 금융주, 지주사
1) 전체 주식
가치 팩터와 다르게 퀄리티 팩터에 속하는 ROE는 그 값이 높을수록 좋다. 위 그래프는 1 분위부터 ROE 값이 높은 것이고 10 분위로 갈수록 값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식투자자라면 많이 들어봤을 ROE 팩터는 유효한 값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나 수익률은 가치 팩터들에 미치지 못해 보인다.
2) 소형주
차트 제목과 같이 시가총액 하위 20%에 해당하는 주식을 대상으로 ROE 10 분위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이다. 가치 팩터들과 마찬가지로 소형주와 조합했을 때 수익률이 많이 올라간 모습이다. 테스트를 진행하기 전에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팩터인 만큼 수익률은 저조하지 않을까 생각했으나 소형주에서는 기대 이상의 수익률을 보였다.
3) 대형주
가치 팩터에서 또한 대형주에서 수익률이 굉장히 저조한 모습이다. 마이너스 수익률은 없었으나 전체 주식과 소형주와 비교해보면 투자했으면 오히려 손해라는 느낌을 받을 정도이다.
2. 퀀트 투자를 했다면?
1) 연평균 수익률
- 백테스트 기간 : 2002년 4월 15일 ~ 2022년 9월 19일
- 리밸런싱 기간 : 분기별(3월 15일/6월 15일/9월 15일/12월 15일)
- 제외기업 : 관리종목, 적자기업, 중국기업, 금융주, 지주사
- 백테스트 대상 : ROE가 가장 높은 50개 종목을 동일 비중으로 매수 및 매도
앞서 본 바와 같이 소형주에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고 대형주에서 가장 낮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소형주와 대형주의 차이는 무려 28.59% p 나 된다. 21년 간 100만 원을 투자 원금으로 했다면 소형주는 22년까지 약 6억이 되었고 대형주는 약 400만 원이 되어 있으니 그 차이가 어마어마하다고 할 수 있다.
2) 최대 손실 낙폭(MDD)
하지만 MDD를 보면 과연 이를 버틸 수 있는 사람이 전 세계에 있기나 할까 하는 생각이 든다. 다른 가치 팩터들에 비해 최대 낙폭이 무시무시하다는 생각이 든다.
3) 기타 참고 수치
전체 주식 | 시총 하위 20% | 시총 상위 20% | |
Best Year | 105.43% | 350.66% | 58.11% |
Worst Year | -53.49% | -39.86% | -52.69% |
Avg. Up month | 7.40% | 8.71% | 6.05% |
Avg. Down month | -6.99% | -6.21% | -6.17% |
Win Month | 58.13% | 65.04% | 56.50% |
Win Year | 66.67% | 80.95% | 66.67% |
3. 결론
소형주와 함께 적용했을 때 어느 정도 높은 수익률을 보여주었으나 다른 팩터들에 비해 MDD가 높았다. 개인적으로 개별 팩터로는 잘 사용하지 않을 것 같으나 다른 팩터들과 조합하여 수익률은 더 올리고 MDD는 훨씬 낮출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그래도 나름 쓸만할 지표가 될 것 같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A 투자에 유효한 지표인가? (0) | 2022.10.13 |
---|---|
ROA 투자에 유효한 지표인가? (1) | 2022.10.13 |
NCAV 투자에 유효한 지표인가? (0) | 2022.10.12 |
POR 투자에 유효한 지표인가? (0) | 2022.10.11 |
PCR 투자에 유효한 지표인가? (0) | 2022.10.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