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29 PCR 투자에 유효한 지표인가? '주가 현금흐름'이라 불리는 PCR팩터가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유의미한 가치 팩터인지 백테스트를 통해 확인해보고 실전 투자에 적용할만한 가치가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1. 백테스트 - 백테스트 기간 : 2002년 4월 15일 ~ 2022년 9월 19일 - 리밸런싱 기간 : 분기별(3월 15일/6월 15일/9월 15일/12월 15일) - 제외기업 : 관리종목, 적자기업, 중국기업, 금융주, 지주사 1) 전체 주식 대상 6 분위까지 선형구조를 보이다 다시 수익률이 상승하며 V자를 그린 모습이다. 다른 팩터들과 같이 PCR이 낮을수록 수익률이 높아진다는 것이 확인이 되었고 PCR 팩터 또한 꽤나 유의미한 팩터인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 주식을 대상으로 수익률을 확인해보았으니 소형주와 대형주에서 얼마나 유의미.. 주식 2022. 10. 11. PSR 투자에 유효한 지표인가? 켄 피셔가 만든 PSR지표가 어느 정도의 수익률을 보이는지 확인해보고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과연 유효한 팩터인가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1. PSR지표 시가총액을 매출액으로 나누어 구한 값으로 이 또한 낮을수록 저평가되었다고 판단한다. 조금 낯설고 특이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각 종 경비를 모두 제외한 당기순이익이 아니라 매출액으로 나누었기 때문이다. 켄 피셔가 그의 저서인 '슈퍼 스톡스'에서 매출액은 이익에 비해 변동의 폭이 덜하기 때문에 안정적이라고 말하면서 PSR지표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으나 이후 PSR이 널리 사용되며 덜 중요해졌다고 말하기도 했다고 한다. 2. PSR은 효과가 있을까? 1) 백테스트 - 백테스트 기간 : 2002년 4월 15일 ~ 2022년 9월 19일 - 리밸런싱 기간 : 분기별.. 주식 2022. 10. 10. 소형주 효과는 정말 유효한가? 퀀트 투자를 하다 보면 소형주에 투자할 때 대형주에 투자하는 것보다 더 높은 수익률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렇다면 과연 소형주는 대형주보다 얼마나 더 나은 성과를 보이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1. 소형주 효과 시가총액이 낮은 기업들로 주식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시가총액이 높은 기업들로 주식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내는 것을 말한다. 소형주 효과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책들에 의해 검증이 된 바가 있고 퀀트 투자 자라면 무시할 수 없는 요소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2. 소형주 효과의 유효성 확인 소형주가 대형주보다 더 높은 수익을 내는 것을 많은 책과 인터넷 글들을 통해 확인했다. 그렇다면 과연 그 구체적인 수치는 얼마나 되는지 직접 검증하여 확인해보고자 한다. 1) 전체 주.. 주식 2022. 10. 10. PBR 투자에 유효한 지표인가? 기업의 가치를 분석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수치인 주당순자산비율(PBR)이 무엇인지 간단하게 알아보고 주식에 투자하는 데 있어 얼마나 유효성이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1. PBR의 의미 주당순자산비율이라고 하는데 이는 '주가/주당순자산'으로 계산해 볼 수 있다. 현재 주가가 회사가 가진 자산의 가치에 어느 정도에 있는지 확인하는 지표가 되며 1배를 기준으로 높고 낮음을 평가하게 된다. PBR이 1 미만일 때 저평가되었다고 하며 PBR이 1을 초과할 때부터 고평가가 아닌지 고려해보게 된다. 2. PBR의 유효성 확인 PBR이 낮으면 좋다는 것을 간단하게 알아보았으니 이제 주식시장에서 이 수치가 어느 정도 유효한지 백테스트를 통해 확인해보도록 하자. 1) PBR 백테스트 결과 - 백테스트 기간 : 2002년.. 주식 2022. 10. 9. PER 투자에 유효한 지표인가? 주식 투자자라면 공부하면서 한 번쯤은 들어봤을 만한 가치 팩터인 PER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PER이 얼마나 영향력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1. PER의 의미 PER은 주가/주당순이익(EPS) 또는 시가총액/당기순이익으로 구할 수 있으며 주가나 시가총액 대비 회사의 가치가 어느 수준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지표이다. 비교군은 동종업으로 하여 숫자(PER)가 낮을수록 저평가되었다고 평가한다. 이제 PER에 대한 대략적인 의미를 살펴봤으니 이해하기 쉽게 PER이 낮다는 의미를 살펴보자. 주당순이익이 10,000원인 A와 B회사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A회사는 주식 가격이 10만 원이고 B회사는 주식 가격이 50만 원이라고 할 때 A회사의 PER는 100,000/10,000이기 때문에 10이 되.. 주식 2022. 10. 9.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